A. ON & OFF 

본인은 물론 참가자들이 경험하는 온라인 상황의 차이점을 경험하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팁을 제공합니다. 사용 프로그램의 작동 확인을 비롯해서 다양한 채널을 활용한 상호작용 방법을 이해하고 실습합니다. 온라인에서는 모두가 말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모두가 채팅과 주석 기능 등을 활용해서 모두가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함께 설명합니다. 달리 말해 진행자의 역량에 따라 온라인에서의 미팅 효율이 더 클 수도 있음을 설명합니다. 


B.마인드셋과 역할

온라인에서는 퍼실리테이터와 프로듀서의 두가지 역할을 하는 사람이 필요합니다. 가장 좋은 것은 한 사람이 두가지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하나의 역할을 충분히 잘 소화해 낸 후에 다른 역할까지 확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퍼실리테이터로서 참가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환경을 만들 수 있어야 하고, 프로듀서로서 전체적인 기술적 운영과 이슈해결을 해야함을 설명합니다.   


C. 기본 환경 설정

온라인에서 필수적으로 확보해야 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선정 및 활용법을 설명 합니다. 특히 온라인에서 ‘소리, 네트워크’환경의 중요성, 진행자에게 있어 모니터링 장비 활용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소프트웨어 활용에서는 필수 단축키 활용이 왜 필요한지를 설명함과 더불어 각 주요 프로그램별 정보 제공과 실습을 진행합니다. 추가로 회사의 보안 정책에 따른 웹접속 등의 방법에 대해서도 설명합니다. 


D. 화상회의 도구

최근 다양한 온라인 응용 도구가 나오고 있지만, 각 회사의 보안 정책에 의해 활용할 수 없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기본으로 사용하는 ‘화상 회의 도구’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필요한 여러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기본 기능의 숙지는 물론이고, 진행하는 콘텐츠나 상황에 맞춰 다양하게 응용해서 쓸 수 있는 방법들을 주로 설명하고 함께 실습합니다. 특히 아이스브레이크 및 참여 유도의 경우 참가자가 도구의 기능을 익히면서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E. 상호작용 도구

먼저 유형별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을 전반적으로 소개한 후 참가자의 니즈에 따라 꼭 필요한 도구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실습합니다. 도구가 목적이 아니라 참가자들의 참여와 성장이 목적임을 기억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 합니다. 제안서에 있는 도구 외에도 필요한 것을 사전에 파악해 실습하기도 합니다. 


F. 프로세스 설계

온라인에서의 미팅과 워크샵을 설계하는 방법을 훈련합니다. 특히 상호 작용과 참가자의 집중도를 고려하여 구성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먼저 기본적인 원칙과 체크리스트를 설명합니다. 그리고 온라인 과정을 진행하기 전, 진행 중, 진행 이후에 체크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안내합니다. 프로세스를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는 가장 쉽고 간단한 도구부터 세부적으로 준비할 수 있는 도구까지 소개합니다.  


G. 운영과 문제해결 

실제 미팅을 운영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이슈를 다룹니다. 기본적으로는 이슈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을 최우선으로 설명합니다. 이후로는 상황별, 유형별로 실제 발생하는 이슈와 대처법을 설명합니다. 이 모듈에서는 과정 참가자 중 한명이 모의 진행을 하면서 다양한 상황을 경험하도록 한 후 전체와 피드백을 나누는 형식으로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H. 대면, 비대면 소통법 

온라인, 리모트 워크를 중심으로 업무 방식이 변화하고 있지만 아직 대면, 오프라인 중심의 소통 패턴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온라인 화상회의부터 메신저 등의 기록형 소통 도구까지 다양한 꼭 적용해야 할 소통법을 다룹니다. 우선 한국의 문화, 한국 기업의 조직 문화를 고려한 소통 방식의 특징과 대안을 알아 봅니다. 그리고 현업에서 꼭 이해하고 지켜야하는 7가지 소통법을 알아봅니다. 그리고 특히 의도와 의미가 왜곡되어 전달되는 경우와 대안을 함께 훈련합니다.